군적금 은행 추천 TOP3 비교 (금리, 보험가입 혜택)

2025년부터 군적금(장병내일준비적금)의 월 최대 납입한도가 55만 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. 이에 따라 더 큰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고, 적금 상품 선택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. 개별 은행별 월 납입한도는 30만 원으로 제한되어 있어, 월 최대한도인 55만 원을 맞추려면 최소 두 개의 상품에 가입해야 됩니다.

현재 군적금을 취급하는 은행이 워낙 다양하고, 각 상품마다 이자율, 우대금리 조건, 부가서비스 혜택(상해보험 무료 가입 등)이 다르게 제공되기 때문에 비교분석 후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상품을 선택해야 됩니다. 군입대를 앞둔 청년들이 쉽게 비교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, 군적금 은행 추천 TOP3 상품을 소개합니다.

군적금 은행별 금리 비교 (2025)

구분우대이자율최고금리
모든 은행의 장병 내일준비적금 상품은 1년 3개월 이상 가입 시 기본금리 연 5.0%가 제공됩니다.
NH농협은행최고 연 0.5%연 5.5%
신한은행최고 연 1.2%연 6.2% (기초생활수급자는 연 최대 8.0%)
우리은행최고 연 1.0%연 6.0%
하나은행최고 연 1.2%연 6.2% (기초생활수급자는 연 최대 8.0%)
IBK기업은행최고 연 1.1%연 6.1% (기초생활수급자는 연 최대 8.0%)
KB국민은행최고 연 1.2%연 6.2% (기초생활수급자는 연 최대 8.0%)
Sh수협은행우대금리 없음연 5.0%
iM뱅크(구 대구은행)최고 연 0.5%연 5.5%
BNK부산은행최고 연 0.1%연 5.1%
광주은행최고 연 0.5%연 5.5%
제주은행우대금리 없음연 5.0%
전북은행우대금리 없음연 5.0%
BNK경남은행최고 연 0.1%연 5.1%
우체국최고 연 0.8%연 5.8%

군적금은 15개월 이상 납입 시 기본금리 5.0%가 보장됩니다. 또한, 은행별로 제공되는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추가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이용실적을 충족하거나 주택청약 계좌 신규 가입 등의 조건을 만족하면 최고 1.2%의 우대금리가 적용됩니다.

즉, 일반 장병들은 연 5.0%에서 최대 6.2% 사이의 금리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. 현시점에서는 신한은행, 하나은행, kb국민은행에서 가장 높은 금리를 제공합니다.

군적금 은행 추천 TOP3 비교분석

군적금 가입 시 금리와 부가서비스 혜택을 모두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. 아래는 금리 중시형과 추가 혜택 중시형으로 나눠 각 상품의 장점과 추천 조합을 소개합니다.

제가 추천하는 조합은 금리를 중시하는 상품(신한, 하나, kb국민 중 하나)과 추가 혜택을 중시하는 상품인 우리은행 군적금을 함께 가입하는 것입니다. 보험가입 혜택이 포함된 상품을 추가로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했습니다.

nh농협손보의 단체상해보험과 우체국 휴일재해보장보험은 영외 체류기간이나 휴일에만 보장되는 반면, 우리은행의 db상해보험은 군 생활 내내 보장되며, 상해 골절 등 군에서 비교적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해 폭넓게 보장해 주기 때문에 가장 추천할 만한 선택입니다.

군적금 우대금리 조건

구분우대금리 조건
NH농협은행
(최고 연 0.5%)
농협 신용·체크카드 월평균 10만 원 이상 - 연 0.2%
주택청약종합저축 5회 이상 납입 및 보유 - 연 0.3%
신한은행
(최고 연 3.0%)
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 및 일정금액 납입 - 연 0.3%
신한 신용(또는 체크카드) 사용 - 연 0.2%
군적금에 자동이체 등록 - 연 0.2%
급여를 신한은행으로 이체 - 연 0.5%
기초생활수급자 증빙서류 제출 - 연 3.0%
우리은행
(최고 연 1.0%)
우리은행 계좌에서 매월 자동이체로 적립 - 연 0.4%
우리카드 결제 계좌를 우리은행으로 지정하고 결제 실적 보유 - 연 0.2%
우리은행의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 및 보유 - 연 0.2%
휴대폰/SMS 마케팅 동의 후 만기까지 유지 - 연 0.2%
하나은행
(최고 연 3.0%)
하나은행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 및 보유 - 연 0.5%
군급여 3회 이상 입금 또는 하나카드 결제 3회 이상 - 연 0.7%
기초생활수급자 증빙서류 제출 - 연 1.8%
IBK기업은행
(최고 연 3.0%)
급여(10만 원 이상) 6회 이상 이체 실적 - 연 0.5%p
주택청약종합저축(청년우대형 포함) 신규 가입 - 연 0.3%p
나라사랑카드 1회 이상 사용 - 연 0.3%p
기초생활수급자 증빙서류 제출 - 연 3.0%
KB국민은행
(최고 연 3.0%)
계약 기간 2/3 동안 매월 10만 원 이상 급여 이체 - 연 0.5%
KB 주택청약종합저축(청년우대 포함) 보유 - 연 0.2%
KB 나라사랑카드 1회 이상 사용 및 보유 - 연 0.5%
기초생활수급자 증빙서류 제출 - 연 3.0%
iM뱅크(구 대구은행)
(최고 연 0.5%)
주택청약상품 보유 고객 - 연 0.2%
만기일에 체크카드 보유 + 결제계좌로 체크카드 실적 보유 - 연 0.3%
BNK부산은행
(최고 연 0.1%)
만기 시 본인 명의 주택청약종합저축 보유 - 연 0.1%
광주은행
(최고 연 0.5%)
요구불예금 3개월 평균 잔액 30만 원 이상 - 연 0.1%
신용·체크카드 사용 실적 100만 원 이상 - 연 0.1%
요구불예금에서 적금으로 자동이체 5회 이상 - 연 0.1%
전자금융 이체 실적(당·타행) 5회 이상 - 연 0.2%
BNK경남은행
(최고 연 0.1%)
주택청약종합저축(청년우대형 포함) 보유 시 - 연 0.1%
우체국
(최고 연 0.8%)
군 급여 우체국 계좌 자동이체 적립 시 - 연 0.2%
우체국 체크카드 이용 시 - 연 0.2%
우체국 예금 첫 거래 시 - 연 0.1%

군적금 부가서비스 혜택

구분부가서비스 혜택
NH농협은행NH농협손해보험 단체상해보험 무료가입 서비스 제공
- 대상: 신규 가입자가 초입금 20만 원 납입 시 제공
- 보험보장금액: 최대 1,000만 원
- 보험 적용시점 및 기간: 적금 가입 다음날부터 전역 하루 전까지
- 보장 범위: 군 복무 중 영외 체류(휴가, 외박, 외출) 기간 동안 발생한 상해
우리은행무료상해보험(DB손해보험 제공) 가입 서비스 제공
- 보장기간: 적금 신규 가입 후, 다음 달 15일부터 21개월 동안
- 보장 내용 및 금액:
현역군인 상해 사망/후유장해: 최대 300만 원
상해 흉터 복원 수술비: 최대 14만 원
화상 진단비: 최대 20만 원
골절 진단비: 최대 10만 원
의사상자 상해 위험: 최대 3억 원
우체국휴일재해보장보험 서비스 무료 가입 - 최대 1000만원 보장

FAQ

Q1. 군적금 만기 총얼마를 수령할 수 있나요?

답변: 군적금 해지 시 만기 수령액은 본인이 납입한 원금과 은행 이자, 정부 매칭지원금의 합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. 계산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.

  • 본인 납임금 계산: 550,000원 x적금 납입 개월 수
  • 은행 이자 계산: 550,000원 x적금 납입 개월 수x이자율(연이율 5%)
  • 매칭지원금 계산: 550,000원 x적금 납입 개월 수 x해당 연월 매칭%
    • 2023년 이후 납입분: (원금+이자+1% 지원금)의 71%
    • 2024년 이후 납입분: 원리금의 100%
    • 2025년 이후 납입분: 입금액의 100%

예를 들어, 2025년 6월 1일부터 매월 55만 원씩 적금을 납입하기 시작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. 이후 육군으로 18개월간 복무하고 2026년 11월 30일에 전역했다면, 납입한 총 원금과 정부매칭지원금은 각각 동일하게 9,350,000원이 적립됩니다. 또한, 적금 금리가 연 5%라고 가정할 경우 발생하는 은행 이자는 350,625원입니다. 따라서 만기 시 총 19,050,625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.

Q2. 정부 매칭지원금은 언제 받을 수 있나요?

답변: 전역 후에는 개인 신분증과 군에서 발급받은 전역증을 지참해 은행에 방문하면, 적금을 해지하고 납입한 원금과 이자를 즉시 수령할 수 있습니다. 다만, 정부 매칭지원금은 즉시 지급되지 않으며 전역 달에 따라 아래와 같이 차등 지급됩니다.

  • 전역 월 (1-3월): 4월 25일 지급
  • 전역 월 (4-6월): 7월 25일 지급
  • 전역 월 (7-9월): 10월 25일 지급
  • 전역 월 (10-11월): 12월 25일 지급
  • 전역 월 (12월): 내년 1월 25일 지급

관련영상

관련링크

Leave a Comment

error: 게시글 내 문구와 이미지에 대한 무단 도용 및 복제 사용을 금지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