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건강e음 앱을 활용하면 최근 5년간의 진료기록을 본인인증만으로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. 방문했던 병원의 이름, 진료 날짜, 진료비, 검사나 수술 내역은 물론, 처방받았던 약과 투약량 등 세부적인 정보까지 상세히 확인 가능합니다.
진료기록에는 정신과 진료와 같은 민감한 개인정보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본인 외에는 가족을 포함해 그 누구도 열람할 수 없습니다. 참고로, 5년보다 더 과거의 기록이 필요한 분은 의료법에 따라 병원에서 10년 전 진료기록까지 보관하고 있으니 신분증을 지참해 해당 병원을 직접 방문해야 됩니다. 또한, 보험사에 의료비를 청구하기 위해 진료비 세부내역서가 필요하다면 역시 병원에 방문해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
건강e음 병원 진료기록 조회방법
1.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모바일 앱 서비스인 건강e음 앱을 설치합니다. 건강e음 앱은 아이폰 App Store와 삼성 스마트폰 Google Play에서 모두 설치할 수 있습니다. 앱을 실행하고 홈 화면 자주 사용하는 메뉴에서 내 진료정보 열람을 클릭합니다.

2. 내 진료정보 열람하기를 클릭하면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는 란이 나옵니다. 주민번호를 인증하고 간편 인증, 휴대폰 인증, 공인인증서 등으로 로그인을 진행합니다. 따로 회원가입이 없이 본인인증만으로 진행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.

3. 로그인하면 최근 1년간의 총 진료비, 건강보험 혜택 금액, 본인이 부담한 진료비, 내원(방문) 일수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또한 ‘더 자세하게 알아보기’를 클릭하면 최근 6개월, 9개월, 12개월 등 기간을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하여 진료내역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. 직접입력으로 기간을 설정하면 최대 5년 전의 진료기록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추가로, 화면 상단에는 민감상병표시 체크란이 있습니다. 이 부분에 체크하면 정신질환, 희귀 질환, 감염병 등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민감한 진료내용도 표시됩니다. 예를 들어, 성매개 감염병이나 최근 유행한 코로나19 치료내역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.

4. 기본진료 섹션에서는 의료기관명, 진료일, 총 진료비, 병명 등 비교적 간단한 정보만 조회할 수 있습니다.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려면 ‘세부진료’를 클릭해야 합니다. 세부진료에서는 초진 및 재진 내역, 검사 내역, 처치 및 수술 내역을 확인할 수 있고, 처방조제에서는 처방받은 의약품명, 1회 투약량, 투여 횟수, 총투약일 수까지 상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병원 진료기록 보관기간
구분 | 보관기간 |
환자 명부 | 5년 |
진료기록부 | 10년 |
처방전 | 2년 |
수술기록 | 10년 |
검사내용 및 검사소견기록 | 5년 |
방사선 사진 및 소견서 | 5년 |
간호기록부 | 5년 |
조산기록부 | 5년 |
진단서 등의 부본 | 3년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