결혼 연령이 점점 늦어지는 추세 속에서, 금전적 부담과 경력단절에 대한 우려로 임신을 미루는 분이 많아지고 있습니다. 난자동결 시술은 한 살이라도 젊을 때 건강한 난자를 채취해 얼려 놓고, 원하는 시기에 해동해 임신을 시도할 수 있어 여성들에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.
다만, 이 시술은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항목이라 높은 비용이 발생해 환자는 큰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. 다행히도 서울시에 거주하는 20-49세 여성은 시술비 200만 원을 지원받고 시술받을 수 있어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습니다.
서울 난자동결 시술비 지원조건
난자동결 시술비 지원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20-49세 여성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. 단, 20-29세 여성은 난소기능검사(AMH) 수치가 3.5ng/mL 이하인 경우에만 지원할 수 있습니다. 자궁/난소질환으로 수술을 했었거나 암으로 방사선 치료가 예정된 분, 병원에서 조기폐경 위험이 있다고 진단받은 분은 amh수치와 관계없이 신청 가능합니다.
난자동결 시술비 지원금 신청방법
1. 몽땅정보 만능키(umppa.seoul.go.kr) 홈페이지 접속 후 공인인증서 등으로 로그인합니다. 서울시 통합회원은 동일 아이디로 로그인 가능합니다.

2. 탄생응원 메뉴에서 난자동결 시술비용 지원을 클릭합니다.

3. 난자동결 시술비용 지원사업 신청하기를 클릭합니다.

4. 개인정보 수집 등 각종약관 동의 후 다음을 클릭합니다.

5. 신청자 및 가구원 정보를 입력합니다.

6. 신청 전 준비한 서류 8종을 스캔하고 pdf, jpg, png, gif, jepg 등의 형태로 컴퓨터에 저장해 첨부합니다. 필요시 가족관계증명서 등 추가서류가 요구될 수 있습니다.

7. 신청 완료 후 유의사항을 읽어보고 신청내역 확인을 클릭합니다.

8. 마이페이지에서 서비스 신청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제출서류가 미비할 경우 보완요청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됩니다. 승인이 완료되면, 시술비 50%에 해당하는 지원금은 신청자 계좌로 입금됩니다.

난자동결 시술과정 6단계
- 의료진 상담 및 기본검사: 먼저, 환자의 난소기능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난소기능검사(AMH)를 실시합니다. 초음파 검사를 통해 난소 내 채취 가능한 동난포수(AFC)를 확인하며,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혈액검사도 함께 진행합니다. 이와 함께 의료진 상담을 통해 최종 시술여부를 결정합니다.
- 과배란 유도주사 처방 및 자가투여: 생리 시작일에 병원에 방문해 과배란 유도 주사를 처방받습니다. 생리 2-3일째부터 8-12일 동안 주사를 본인이 직접 투여하며, 이 기간 동안에는 과배란 진행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2-3일 간격으로 병원에서 초음파 검사를 진행합니다. 난포 크기와 개수 변화에 따라 주사용량은 조절될 수 있습니다.
- 난자성숙주사 투여: 난포가 적절한 크기인 18mm 이상으로 성장하면 난포에서 난자가 배란될 수 있도록 난포 터지는 주사(트리거 샷)를 투여합니다. 이후 35-36시간 뒤에 난자채취를 시작합니다.
- 난자채취: 질초음파를 보며 채취용 바늘을 사용해 약 10-20개의 난자를 채취합니다. 시술은 수면마취를 통해 통증과 불편함을 최소화하며 10분 내외로 짧게 진행됩니다.
- 난자동결: 채취한 난자는 급속 동결법으로 영하 210도까지 냉각됩니다. 이를 통해 난자의 손상을 최소화해 보존할 수 있습니다. 동결한 난자는 향후 필요한 순간까지 난자은행에 보관됩니다. 평균 보존기간은 5년이고 상황에 따라 보관기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.
- 휴식 후 귀가: 시술 후 병원에서 약 90-120분가량 휴식을 취한 뒤 바로 귀가할 수 있습니다. 입원이 필요하지 않아 빠르게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지만, 시술 당일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.
난자동결 시술 부작용
과배란 유도주사를 투여하면 평소보다 더 많은 난자가 배란되며, 이 과정에서 난소가 자극을 받아 두통, 복부 팽만감, 소화불량,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증상은 대부분 경미하고 일시적으로 발생하며, 충분히 안정을 취하면 빠르게 호전됩니다.
서울 난임 전문병원 리스트
연번 | 의료 기관명 | 주소 및 연락처 |
1 | 베스트오브미여성의원 |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390 미진프라자 3층 (역삼동) 연락처: 02-6287-3000 |
2 | 차의과학대학교 강남차병원 |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566 강남차병원 (역삼동) 연락처: 02-3468-3000 |
3 | 미래와희망 산부인과의원 | 서울 강남구 언주로 707 MH빌딩 (논현동) 연락처: 02-3446-0011 |
4 | 삼성서울병원 |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로 81 삼성의료원 (일원동) 연락처: 02-1599-3114 |
5 | 엠여성의원 |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07 EK타워 12층 (삼성동) 연락처: 02-6188-0070 |
6 | 서울아이앤여성의원 |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1053 이안 강동 컴홈스테이 오피스텔 1차 4-5층 (천호동) 연락처: 02-6953-7119 |
7 | 에이치아이여성의원 | 서울 강서구 강서로 463 새싹타워 2층 에이치아이여성의원 (마곡동) 연락처: 02-3662-0401 |
8 | 미즈메디병원 | 서울특별시 강서구 강서로 295 (내발산동) 연락처: 02-1588-2701 |
9 | 감자와눈사람여성의원 |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5로 22 웰튼메디플렉스 5층 (마곡동) 연락처: 02-467-6727 |
10 | 고려대학교부속구로병원 |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로 148 고려대부속구로병원 (구로동) 연락처: 02-2626-1114 |
11 | 서울아가온여성의원 |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32길 79 조영빌딩 8층 (구로동) 연락처: 02-864-7500 |
12 | 삼성미래여성병원 | 서울특별시 구로구 서해안로 2296 삼성미래여성병원 (오류동) 연락처: 02-2682-2100 |
13 | 메디아이여성병원 | 서울특별시 노원구 노원로 448 메디아여성병원 (상계동) 연락처: 02-936-2122 |
14 | 서울아이나 여성의원 |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13길 61 씨드큐브창동 리테일 4층 (창동) 연락처: 02-6228-1234 |
15 | 마리아의료재단 마리아병원 |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 20 마리아병원 (신설동) 연락처: 02-2250-5555 |
16 | 서울라헬여성의원 |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시티호텔 3층 (공덕동) 연락처: 02-3286-7500 |
17 |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|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-1 세브란스병원 (신촌동) 연락처: 02-1599-1004 |
18 | 아이수 산부인과의원 |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작대로 108 디오슈페리움2 303호 (방배동) 연락처: 02-3483-2255 |
19 | 연세더블유 산부인과의원 |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111 보광빌딩 4-5층 (서초동) 연락처: 02-587-2330 |
20 | 함춘여성의원 |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중앙로8길 10 산부인과 함춘 (서초동) 연락처: 02-2182-3400 |
21 |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| 서울특별시 양천구 안양천로 1071 (목동) 연락처: 02-1666-5000 |
22 |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| 서울특별시 성북구 고려대로 73, 고려대병원 (안암동5가) 연락처: 02-1577-0083 |
23 | 사랑아이여성의원 |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69 애플타워 3층 (잠실동) 연락처: 02-419-7501 |
24 | 마리아의료재단 마리아병원 |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이로 152 마리아플러스병원 (가락동) 연락처: 02-2152-6555 |
25 | 미래연여성의원 |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35다길 42 루터회관 2층 (신천동) 연락처: 02-6012-2220 |
26 | 아산사회복지재단 서울아산병원 |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43길 88 서울아산병원 (풍납동) 연락처: 02-1688-7575 |
27 | 서울대학교병원 |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(연건동) 연락처: 02-1588-5700 |
28 | 국립중앙의료원 |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45 국립중앙의료원 (을지로6가) 연락처: 02-2260-7114 |
29 | 성광의료재단 차여성의원 | 서울특별시 중구 한강대로 416 서울스퀘어 2층 (남대문로5가) 연락처: 02-2002-0427 |
30 | 마리아의료재단 마리아의원 |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로 267 (상봉동) 연락처: 02-2218-7555 |
31 |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|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로 156 (신내동) 연락처: 02-2276-7000 |
문의처: 서울여성가족재단(02-3280-2049), 스마트건강과(02-2133-7577) |
FAQ
Q1. 난자동결 시술 후 임신 성공률은 얼마나 되나요?
난자동결 시술 후 임신 성공률은 시술 당시 여성의 연령과 동결한 난자 수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. 비교적 젊은 20-30대 초반에 시술하면 70-80% 이상의 높은 성공률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. 반면, 가임력이 떨어지는 35세 전후로 시술했다면 60-70%로 다소 낮아질 수 있고 40세 이후에는 더 많은 난자를 동결해야 임신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.
Q2. 난자동결 시술비용은 얼마인가요?
난자동결 시술은 의료수가가 정해지지 않은 비급여 항목으로 병원마다 가격 차이가 큽니다. 평균적으로 200만 원에서 500만 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합니다.
- 시술 전 받는 난소기능검사(AMH): 약 5만-8만 원
- 시술비(초음파, 과배란 유도주사, 난자채취 및 동결): 평균 250만-350만 원
- 난자 보관료: 연간 20만-40만 원
총비용은 채취하는 난자의 개수와 개인별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병원마다 가격차이가 있기 때문에, 시술 전 상담을 통해 자세한 비용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