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설 전기차 충전소는 사업자마다 요금 체계가 다를 뿐만 아니라, 회원으로 등록하지 않으면 훨씬 더 높은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하지만, 환경부 전기차 카드를 발급받으면 전국의 사설 충전소에서도 동일한 요금으로 충전할 수 있습니다. 차량 출고 후 카드를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, 임시번호(oo임 oooo)를 활용해 미리 발급받아 두시기 바랍니다.
환경부 전기차 카드 발급방법
1.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(ev.or.kr)에 접속한 뒤, 아이디 또는 간편 인증으로 로그인합니다.

2. 메인 홈 화면의 자주 찾는 서비스에서 회원카드 신청을 클릭합니다.

3. 차종, 차량 모델, 차량 번호 등 차량 관련 정보와 카드 발급 사유를 입력한 뒤, 완료 버튼을 클릭합니다. 차량 출고 전이라 번호판이 없는 경우에는 임시번호(oo임 oooo)를 입력할 수 있으며, 번호판 부착 후 홈페이지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.

4. 회원카드/번호 발급조회를 통해 카드가 정상적으로 발급되었는지 확인합니다.

5. 관리 및 조회 탭에서 결제카드 등록(회원카드 정보 수정)을 클릭합니다. 결제카드 일괄등록 또는 결제할 신용카드를 선택한 뒤 등록을 완료합니다. 카드정보를 입력해 연동할 수 있으며, 전기차 전용 할인카드를 등록하면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실물 카드를 소지하는 것이 번거로운 경우, 환경부 EV이음 앱을 설치해 모바일 카드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단, 아이폰에서는 이용이 불가합니다.

사업자별 충전요금 비교
기관명 (25년 3월 기준) | 회원가(1kWh당) | 비회원가 |
클린일렉스 | 308.2 | 403.2 |
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| 320 | 480 |
타디스테크놀로지 | 323 | 430 |
Lg유플러스 볼트업 | 324 | 350 |
서울시 | 324.4 | 324.4 |
에버온 | 324.4 | 380 |
파워큐브 | 344.4 | 344.4 |
GS차지비 | 347 | 448 |
환경부 | 347.2 | 347.2 |
SK에너지 | 347.2 | 450 |
이카플러그 | 347.2 | 440 |
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| 371 | 500 |
이브이시스(evsis) | 380 | 500 |
대영채비 | 385 | 500 |